국제모자구강보건센터

서울대학교 국제모자구강보건센터

1. 설립 배경

구강건강은 아동의 전인적 성장과 삶의 질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국제보건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은 치과 인력과 자원이 부족해 임산부와 아동이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치료를 받기 어려운 현실이 있습니다.
이에 국제보건기구(WHO)는 2021년 세계 구강보건 증진을 위한 선언을 발표하고, 2024년에는 국가 차원의 전략과 지표를 제시하여, 2030년까지 구강건강을 증진시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 속에서 서울대학교 모자구강보건센터는 모자 구강건강을 일차진료의 중심인 모자건강시스템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습니다.

2. 센터 개요

  • 국문 명칭: 국제모자구강보건센터
  • 영문 명칭: Global Maternal and Child Oral Health Center
  •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
  • 설치 위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관악캠퍼스(86동) 311호

3. 비전과 목표

  • 비전: 모든 여성과 아이들이 필수치과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
  • 미션: 모자구강건강을 모자건강시스템의 주요부분으로 통합시키는 것
  • 목표: 임산부, 어머니, 어린이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및 확산
  •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개발도상국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에 기여

4. 연구 활동분야

연구 내용 : 정책, 프로그램, 및 구강증진향상 옹호 활동 개발 및 연구 (Policy, Program/Practice, People focused)
  • 보건부, 보건협회를 통한 모자구강정책 방안 연구
  • 임산부와 모자 구강보건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보급 연구
  • 기존의 모자건강시스템과 의료인력양성프로그램 안에 구강건강증진모델이 융한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연구 및 활동 사업
  • 2025 KOICA 시민사회협력프로그램 (진입형 파트너십 사업): 케냐 킬리피지역 모자구강건강 인력양성 사업
  • 2023/24 KOICA 민관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아카데미 파트너): 케냐 킬리피지역 구강건강수요조사
  • 케냐 무쿠루 지역 초등교사 대상 구강건강 및 영양증진 역량강화 사업 (Kenya National Commission UNESCO 사업, 서울대학교 교수사회공헌단 선정 사업)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과 협력한 아산 유니버시티 불소 사업
  • 학부대학 학부생 연구사업: 우즈베키스탄 유치원 교사 구강건강 교육 사업

5. 기대 효과

  • 정책적 영향: 개발도상국의 모자구강보건 정책 개발 및 연구 결과로 지속가능한 정책적 해결방법 제시, 국제 가이드라인과 정책 발표
  • 학문적 기여: 세계구강보건 전략에 부합하는 모델 연구 및 국제 학술 네트워크 강화
  • 사회적 기여: 취약계층 아동과 어머니의 구강건강 불평등 해소

6. 조직

  • 센터장: 이혜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참여교수진: 임정준, 김영재, 조현재, 임정준, 박신영
  • 학생연구원: 김솔, 백상현, 양우정
  • 국제 협력기관: Kenya National Commission UNESCO, World Federation of Public Health Associations, Tashkent Medical Institute, etc